본문 바로가기
어깨를 먼저 생각합니다./어깨통증

[봉침] 봉독을 이용하는 약침요법인 "봉침"

by 어깨톡톡 2015. 2. 20.

 

 

 

[봉침] 봉독을 이용하는 약침요법인 "봉침"

 

봉침요법은 임상에서 줄여 ‘봉침’ 혹은 ‘벌침’이라고 흔히 말한다.

 

‘봉’이라는 말이 들어있다 보니 임상에서 환자분들이 장침처럼 기다란 침인가 하고 오해를 사기도 한다.

 

 

 

 

봉침은 벌침이라고도 많이 알려져 있다보니,

 

진짜 생벌로 견우한의원에서 봉침을 시술하는 것이 아닌가 오해를 사기도 하며,

 

실제 민간에서 살아있는 벌로 시술하는 경우도 있다보니

 

견우한의원에서도 생벌로 시술하냐고 묻기도 한다.

 

 

 

 

봉침은 벌독을 이용하는 약침 요법으로,

 

꿀벌의 독낭에서 인체에 유해한 성분들을 제거하고


인체에 유익한 치료물질만을 추출(착취법, 수동적 추출법, 냉동법, 마취법 등) 한 뒤 가공하여

 

각 병증에 따라 적절한 혈위를 선택하여 환자의 상태에 맞게 적당량을 주입하여,

 

침시술에 의한 혈위 자극 효과와 봉독의 약리적인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신침요법의 일종이다.

 

 

 

 

봉침요법은 외부의 독으로서 내 몸의 사기를 치료한다는

 

이독치병(以毒治病)의 범주에 해당하며,

 

자연의 독을 이용해 내 몸 안의 질병을 치료한다는 점에서

 

전형적인 한의학적인 치료방법에 해당한다.

 

 

 

 

봉침에 들어있는 봉독은 크게 펩티드, 효소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중 펩티드 성분으로는 멜리틴, 아파민, 비반세포 과립세포 펩티드, 아돌라핀, 단백효소 억제제,

 

세카르핀, 터치아핀, 프로카민 등이 있으며,

 

 

 

 

효소 성분으로 히알루로산 분해 효소, 포스폴리파제, 알파 글루코시다제, 산 포스포모노에스테라제,

 

리소포스폴리파제 등이 있으며,

 

그 외에 생물성 아민과 아미노산, 탄수화물 등이 있다.

 

 

 

 

봉침에는 페니실린의 1천 배에 해당하는 항염증 작용이 있으며,


그 외에 세포용해, 신경독 효과, 항세균 작용, 항진균 작용,

 

방사선 보호 작용, 항알킬화 작용 등이 있어,

 

근육통, 관절통, 근막통증증후군, 류머티스 등에 활용하고 있다.





다만, 봉침 시술의 경우 환자의 상태에 따라


가려움, 부종 등이 생길 수 있으며


특이 체질의 경우 심한 알레르기 반응을 보일 수도 있어


체질이나 증상에 맞게 한의원에서 봉침의 강도와 양을


조절해 시술받는 것이 좋다.

 

 

 

 

댓글